사진=이미지투데이
사진=이미지투데이

한달 이상 원리금 연체를 경험했던 차주들이 연체가 해소된 이후에도 1년 이상 낮은 소비 수준을 이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현열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이 26일 공개한 '고금리에 따른 한계 차주의 소비 부진 정도와 지속성' 보고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30일 이상 원리금 연체를 경험한 차주의 비중은 전체 대출자의 1.8%다.


이는 코리아크레딧뷰로(KCB) 표본자료를 이용해 대출계좌와 신용카드를 모두 보유한 차주의 대출상품 연체를 분석한 수치다.

보고서는 "연체가 발생하고 연체가 해소된 직후 1분기 중 소비수준은 평균 대비 26% 낮았다"며 "4분기가 지난 시점에도 여전히 평균 대비 18% 낮은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한번 연체에 진입한 경우 연체가 해소된 이후라도 장기간 소비 여력을 낮추고 연체가 1분기 이상 지속될 경우 소비 수준의 회복 시점이 더 지연될 수 있다고 분석됐다.


김 연구위원은 고금리와 경기부진으로 한계 차주의 소비 부진이 장기화할 위험이 있어 차주에 대한 부채 관리 및 선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전망했다.

고물가로 인해 실질 소득이 늘어나지 않는 점도 이자 상환 여력과 소비 여력을 제약하는 상황이다.

김 연구위원은 "경기 둔화가 더 심화할 경우 한계 차주 중 상환능력이 한시적으로 떨어진 차주만 원리금의 일부 상환 유예 등을 통해 부실을 막고 소비 여건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그는 "무차별한 대출 상환 지원은 장기적으로 가계대출 시장의 자생적인 조정 기능을 약화할 위험이 있어 지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