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그룹이 생산적금융에 앞으로 5년간 110조원을 투입한다./사진=KB금융그룹

KB금융그룹이 생산적·포용금융에 앞으로 5년 동안 총 110조원을 투입한다. 미래 국가경제를 이끌어갈 전략산업 육성과 생태계조성을 지원하기 위한 취지다.

KB금융은 오는 2030년까지 생산적금융 93조원, 포용금융 17조원 등 총 110조원 규모를 지원한다. 생산적금융 93조원은 토자금융 25조원과 전략산업융자(기업대출) 68조원으로 공급한다.


투자금융 부문은 국민성장펀드 10조원, 그룹 자체투자 15조원으로 구성된다. 전략산업융자의 경우 5년간 68조원 규모로 첨단전략산업·유망성장기업 등에 자금을 공급한다. 선제적인 금융 지원으로 국민성장펀드의 조기 성과 창출과 안착을 지원하고 그룹 자체적으로 '생산적금융 펀드(자산운용증권인베스트)' 결성, 증권 모험자본 공급, 계열사 인프라·벤처 투자 등에 나선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5극 3특 전략'에 부합하는 지역 성장 프로젝트 발굴도 적극 추진한다. 권역별 핵심 산업과 연계되는 인프라, 신재생에너지, 데이터·AI센터, 물류·항만 등 지역 맞춤형 전략산업과 SOC 복합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예정이다.

포용금융 17조원은 서민 취약계층과 소상공인 자영업자의 성장과 재기지원 등 다양한 금융지원과 채무지원 프로그램 등으로 추진된다.


앞서 KB금융은 지난 9월 계열사 사장단을 비롯해 경영진 21명이 참여하는 '그룹 생산적금융 협의체'를 출범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생산적금융 추진방향과 세부실행방안을 논의하고 주기적으로 실적을 점검하고 있다.

계열사별로 전담조직도 신설한다. 은행에는 생산적 금융 중심의 기업대출 확대 등을 총괄조직 신설을 검토 중이다.

이와 별도로 지난달 첨단전략산업 전담 심사부서인 '첨단전략산업심사UNIT'을 신설하기도 했다. 계열사의 부동산금융 영업조직은 축소하고 기업·인프라금융 영업조직을 확대하는 조직 개편도 검토 중이다.

최근 금융위 주관 생산적금융 소통 점검회의에서는 총 3조3000억원 규모의 용인반도체클러스터 금융주선(KB국민은행·산업은행) 내용을 실행계획으로 발표한 바 있다.

KB금융 관계자는 "금융이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선도하는 본질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부 주도 생산적 금융 지원에 적극 동참하겠다"며 "소상공인, 서민·취약계층의 성장·재기 지원에도 앞장서서 국민 모두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포용금융 지원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