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동차부품 업계가 판매부진과 노사갈등, 통상임금 소송 등으로 한국 자동차 산업이 큰 위기에 처했다며 지원을 호소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과 한국자동차산업학회,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은 9일 '3중고에 휘둘리는 위기의 자동차부품산업계 호소'라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최근 우리 중소 자동차부품업체들이 ▲중소부품업계의 경영악화 ▲완성차발 유동성 위기 후폭풍 우려 ▲노사관계 악화 및 소송분쟁 다발로 인한 위기상황에 처해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자동차부품 제조 단체인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은 9일 이사회를 개최하고 자동차산업 위기 타개를 위해 관계 기관 등에 지원을 호소하기로 긴급 결의했다.이들은 호소문에서 “지난해 국내 자동차 생산은 2015년보다 7.2% 줄고 인도에 밀려 세계 6위로 내려앉았고 수출도 올해 들어 멕시코에 3위 자리를 내줬다”며 "완성차 매출액의 절반에 해당하는 부품을 생산·납품하는 중소 협력업체 역시 매출 감소, 가동률 저하 등 경영난을 겪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런 상황에서 임박한 기아차 통상임금 소송판결과 정부와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근로시간 단축(주 68→52시간) 등이 불러올 파장을 우려했다.
이들은 "당장 기아차가 8월 중 통상임금 1심 소송에서 패소할 경우 3조원 이상의 우발적 채무 발생으로 추가 차입을 고려할만큼 심각한 유동성 문제를 겪을 것"이라며 "부품 협력업체 대금결제 등 현금 흐름에도 영향을 미쳐 중소 부품 협력업체는 존폐 위기에 놓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근로시간 단축 논의에 대해서도 "연착륙 방안이 없는 급격한 단축은 중소 부품업체와 자동차산업의 근간인 뿌리산업계(도금·열처리·주물·단조·금형·사출 등)의 생산 차질과 인건비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들은 "자동차산업은 한 나라의 경제력·기술 수준을 대표하고 부품·소재 등 연관산업과 고용 유발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며 "정부, 국회, 법원이 자동차 산업에 미칠 악영향을 고려해 급격한 근로시간 단축, 통상임금 문제 등의 사안에 대해 신중한 정책 결정을 해달라"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