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 미국 정부효율부(DOGE) 수장이 도날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부 효율화 정책을 추진하는 것에 본인 소유의 SNS 플랫폼 엑스(X·옛트위터)를 적극 활용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사진=로이터
일론 머스크 미국 정부효율부(DOGE) 수장이 도날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부 효율화 정책을 추진하는 것에 본인 소유의 SNS 플랫폼 엑스(X·옛트위터)를 적극 활용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사진=로이터

일론 머스크 미국 정부효율부(DOGE) 수장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부 효율화 정책을 본인 소유의 SNS 플랫폼 엑스(X·옛트위터)를 적극 활용하며 추진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지난 4일(이하 현지시각) 뉴욕타임스는 '일론 머스크의 엑스 계정은 사실상 트럼프 행정부의 개혁 정책을 홍보하는 핵심 창구가 됐다'고 보도했다.


머스크는 DOGE 수장으로 임명된 뒤 자신의 엑스 계정에서 정부 비판자들을 공격하고 조롱하는 등의 정치적 발언을 이어가고 있다. 그의 계정은 단순한 정치적 발언의 창구뿐만이 아니라 정부효율화 정책에 대한 최신 정보를 제공하는 주요 창구로도 기능하며 더욱 영향력을 얻고 있다. 머스크의 개인 계정은 2억1500만명 이상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다.

실제 그는 엑스에서 미국 국제개발처(USAID)를 "악랄하고 범죄적인 조직"이라고 비난하는 등의 비판을 가해왔다. 지난 3일에는 USAID를 "우드 칩퍼"(나무 분쇄기)에 집어넣었다"는 게시글을 올리며 해당 기관에 대한 공격을 기정사실화했다. 이후 미 정부효율부는 USAID의 폐쇄를 추진 중이다.

또 머스크는 정치적인 문제를 SNS 운영에 반영하기도 했다. 그는 지지자들이 연방 디지털 서비스 기관인 '18F'의 활동에 우려를 표하자 '18F의 X 계정을 삭제했다'고 알리기도 했다. 그의 지지자들은 18F가 진행한 '안면인식 기술의 인종 편향성 연구' 등을 우려했다.


코넬대 브룩스기술정책연구소의 사라 크렙스 소장은 머스크의 행보에 대해 "이 같은 전시적 측면이야말로 포퓰리즘의 핵심 요소"라며 "이 정부의 지지자들에게는 이처럼 가시적인 변화를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