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를 하는 조대성(대한탁구협회 제공)

(도하(카타르)=뉴스1) 안영준 기자 = 한국 탁구 대표팀의 조대성(삼성생명)이 세계탁구선수권에서 비디오 판독 변수 이후 무너지며 쓰린 역전패를 당했다.

조대성은 21일(이하 한국시간) 카타르 도하 루사일 아레나에서 열린 2025 세계탁구선수권 남자 단식 32강전에서 패트릭 프란치스카(독일)에 게임 스코어 3-4(11-7 11-9 11-7 7-11 8-11 4-11 3-11)로 졌다.


조대성은 먼저 세 게임을 잡으며 승리를 눈앞에 뒀지만 이후 내리 네 게임을 패했다. 이로써 세계선수권 단식에 처음 도전장을 내밀었던 조대성은 32강에서 만족하게 됐다.

이날 변수는 비디오 판독이었다. 3게임서 조대성이 서브를 넣은 뒤 프란치스카가 비디오 판독을 요청했다. 조대성이 서브 과정에서 몸으로 탁구공을 숨겼다는 것.

탁구에선 서브에서 탁구공을 탁구대보다 아래에서부터 던져도 안 되고, 라켓과 탁구공이 맞는 순간을 상대에게 숨기면 안 된다.


판독 결과 조대성의 몸에 가려 서브하는 공이 보이지 않아, 조대성의 반칙 선언과 함께 프란치스카가 한 점을 가져갔다. 조대성은 3게임을 이기기는 했지만 이후 크게 흔들렸다.

탁구에서는 아직 비디오 판독이 익숙한 단계는 아니다. 단체전으로 열렸던 2022년 청두 세계선수권부터 처음 도입됐다.

조대성이 20일(현지시간) 카타르 도하 카타르대학교 스포츠 컴플렉스에서 열린 '2025 국제탁구연맹(ITTF) 세계선수권대회' 남자단식 64강전에서 스웨덴 마티아스 팔크와 경기를 펼치고 있다. 2025.5.20/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이후부터는 각 대회 중계 카메라 등 사정에 따라 도입 여부를 정했는데, 하지 않는 경우도 많았다.

이번 대회에선 카타르대학교와 루사일 아레나 2개의 경기장 중 루사일 아레나에서만 비디오 판독 제도를 적용했다. 경기당 선수에게 두 번의 판독 요청 기회가 주어지며, 판독 결과 정심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요청권 한 개가 소멸된다.

조대성으로선 비디오 판독이라는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점수를 잃고 서브 자세까지 다급히 바꿔야했던 게 큰 변수였다.

조대성은 "그 장면 이후 흔들렸다. 선수들은 서브를 넣는 동작에서 나름의 리듬이 있다. 그 리듬이 깨지면서 의식하다 보니 적응하지 못했다"고 입술을 깨물었다. 이어 "비디오를 보니 실제로 내 공이 완전히 가려졌더라. 그래서 이후부터는 의식적으로 공을 보이게 치려했는데, 그러면서 계속 상대에게 끌려다녔다"고 덧붙였다.

3-0으로 이기던 경기를 놓친 건 아쉽지만, 그래도 처음 출전한 세계선수권 단식에서 32강에 오른 건 나쁘지 않은 성과다.

특히 조대성은 허리 부상으로 훈련을 약 2주밖에 하지 못했음에도 존재감을 보였다.

조대성은 "흔들릴 시간에 더 과감하게 했어야 했다"고 자책하면서도 "허리 부상 속에서도 마지막까지 잘 치른 점은 다행"이라고 말했다.

이제 조대성에게는 장우진(세아)과 호흡을 맞추는 남자 복식만 남았다. 둘은 22일 오전 0시50분 린가오위안-린시동(중국)과 만난다.

조대성은 "단식은 이제 끝난 일이니 복식에 100%를 쏟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