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보경 환경자원국장이 21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자원회수시설 현대화사업'의 추진 현황과 주민 요구사항 반영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의정부시

의정부시(시장 김동근)가 논란이 됐던 '자원회수시설 현대화사업' 추진과 관련, 당초 '반지하화' 검토 발표를 백지화하고 주요 시설의 '완전 지하화' 방식을 원점에서 재검토하는 등 시민 공론장에서 도출된 결과를 전면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달 주민설명회에서 '지하 암반 문제'와 '공사비 상승'을 이유로 반지하화 안을 제시했다가 주민들의 거센 반발에 직면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의정부시는 21일 시청 기자실에서 김보경 환경자원국장 주재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자원회수시설 현대화사업'의 추진 현황과 주민 요구사항 반영 상황을 설명했다. 시는 이번 사업이 지난 2023년 7월 개최된 '의정부 생활폐기물과 소각 및 처리시설 문제해결 시민공론장'을 통해 5년간 표류하던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시민들의 치열한 토론과 합의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전면 수용하며 새로운 출발점에 섰다고 강조했다.

시민 공론장에서는 ▲소각시설 규모로 증설(68.4%) ▲최적 대안으로 신규부지 신설(70.2%) ▲주민 수용성 제고 방안으로 환경오염 최소화(30.9%) 및 지역 랜드마크화?지하화 시설 조성(24.6%) ▲입지 부지로 자일동 선정(76.1%) ▲필요 재원 마련 방안으로 재정사업 추진(96.1%) ▲건강 및 환경 영향과 피해 최소화 방안으로 환경오염물질 배출 최소화 및 소각장 굴뚝 높이 최대화(23.45%)와 지하화 등 경관을 고려한 건설(21.45%) 등의 결정사항이 도출됐다.

시는 공론장 결과에 따라 자일동 환경자원센터 내에 1일 처리 용량 230톤 규모의 소각 관련 주요시설을 지하화하는 방식으로 재정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2024년 11월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사업으로 선정됨에 따라 현재는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절차를 진행 중이다.


시는 환경 안전성과 주민 우려 해소에도 적극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시행한 전략환경영향평가에서는 굴뚝 높이 59m, 80m, 100m 세 가지 안 모두 적정한 것으로 분석됐으며, 시는 이 중 가장 엄격한 기준인 100m 굴뚝 설치를 계획했다. 향후 추가적인 환경영향평가를 통해 오염물질 배출 최소화 방안도 구체화할 계획이다.

또한 시는 자일동 주민 편익시설 확충을 위해 지난해 7월 두 차례에 걸쳐 실시한 주민경청회 결과를 바탕으로 ▲수영장 ▲실내골프연습장 등 체육시설 조성과 ▲환경자원센터 진입로 양측 공원화 계획안을 마련했으며, 향후 구성될 주민지원협의체와의 협의를 거쳐 실제 조성에 나설 계획이다.

김보경 환경자원국장은 "시민과 함께 소각장 문제를 해결한 시민공론장의 결과를 존중해 현대화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며 "자일동 지역 주민들과 꾸준히 소통하며 불편사항이 해소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