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남근 의원(더불어민주당·서울 성북구을)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홈플러스 사태를 촉발한 MBK파트너스와 이 회사에 투자한 국민연금을 비난했다.
국민연금은 MBK가 조성한 펀드의 주요 출자자일 뿐만 아니라 MBK가 2015년 인수한 홈플러스에도 직접 투자했다. MBK는 지난 3월 홈플러스에 대해 기습적으로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고 이로 인해 국민연금이 수천억원대 손실을 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김 의원은 지난 6일 자신의 SNS에 올린 '국민연금, 홈플러스 사태에 역할을 다 해야 합니다'라는 제목의 글에서 "MBK파트너스는 10여개 회사들을 부실하게 만든 전력이 있다"며 "그럼에도 국민연금은 MBK의 행위를 조사하거나 책임을 묻지 않았고 다른 기관 투자자들과 연합해 투자를 제한하는 등 사회적 책임 투자자로서의 역할도 제대로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민연금이 투자하지 않겠다는 원칙만 세웠어도 MBK가 국내에서 사모펀드를 만들어 사업을 벌이는 건 불가능했을 것"이라며 "사회적으로 비난받는 행동을 대규모로 해온 사모펀드에 대해서는 '투자하지 않겠다'는 원칙이 명확히 필요하다"고 했다. 국민연금이 홈플러스 사태를 포함해 다수의 기업을 부실화시킨 MBK파트너스에 더 이상 투자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셈이다.
앞서 지난해 9월 MBK가 국가 기간산업인 고려아연에 대해 적대적 M&A를 시도했을 당시에도 국민연금이 MBK의 투자자로 참여할 예정이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었다. 당시에는 "국민의 노후자산을 책임지는 국민연금이 국가와 지역사회의 지지와 지원으로 성장한 기업을 사모펀드가 빼앗는 데 자금을 지원하는 게 과연 적절한가"라는 비판이 거셌다.
이후 국민연금은 적대적 M&A에는 참여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MBK와 투자 계약을 체결했지만 홈플러스와 고려아연 사태를 포함해 과거 여러 기업의 부실화 사례가 사회적 논란으로 이어지면서, 공적 기금인 국민연금이 MBK에 대한 투자를 전면 중단해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
김 의원은 "최근 MBK는 홈플러스 지분을 포기하겠다고 밝혔지만 그 결과 가장 큰 손실을 보는 곳은 결국 국민연금"이라며 "국민연금이 얼마나 손실을 보는지 이 포기가 홈플러스 사태 해결에 얼마나 유의미한지 철저히 점검돼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연금은 2015년 MBK의 홈플러스 인수 당시 약 6100억원을 투자했다. 이 가운데 약 3000억원은 아직 회수하지 못하고 있다. MBK의 기업회생절차 신청으로 이 자금의 회수가 가능할지는 현재로서는 불투명하다.
김 의원은 끝으로 "국민의 노후자산을 책임지는 국민연금이 보다 책임 있는 투자자로 거듭날 수 있도록 국회 차원에서도 스튜어드십 코드 이행 여부를 철저히 점검하고 필요한 책임을 반드시 묻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