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창석 KT 네트워크 부문 부사장이 지난 17일 서울 광화문 KT광화문빌딩에서 KT 소액결제 피해 추가 발생 및 개인정보 유출 피해 관련 전수 조사 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KT 소액결제 피해 사태가 확산되는 가운데 자체 조사 결과를 신뢰하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아울러 전체 가입자 대상 유심(USIM·가입자식별단말장치) 교체 및 위약금 면제 등 고객들을 위한 전향적 조치가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서울YMCA 시민중계실(서울YMCA)은 20일 KT가 세 차례 언론 브리핑이 잘못됐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브리핑을 거치면서 결제 피해 지역이 강원을 포함한 수도권 54개 시·군·구로 확대됐다며 전국 KT 이용자들의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이용자 보호에 미흡하다는 점을 꼬집으면서 ▲전 기지국 접속기록 전수조사 ▲24시간 이용자 피해접수창구 개설 ▲전 이용자 대상 문자 고지·유심 교체·위약금 면제를 시행해야 한다고도 성토했다.


서울YMCA는 "소액결제 추가 피해가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합동조사단이 아닌 피조사자인 KT가 또다시 자체 조사를 확정적 사실인 것처럼 브리핑을 진행했다"며 "이는 지난 9월11일과 18일에 이어 KT 세 번째 브리핑이며 피조사자인 KT가 직접 브리핑하는 것은 국민들이 합동조사단의 검증된 조사 결과로 오인할 소지가 크다"고 전했다. 이어 "수차례 문제 제기했음에도 여전히 동일한 자사 이기주의적인 행태를 반복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KT는 자신들이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신들이 하고 싶은 내용만 발표하고 답하기 싫은 내용은 회피하고 있다"며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기자회견 생중계를 중단시켰는데 이는 개인정보 유출로 불안에 떨고 있는 국민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의지가 전혀 없다는 것으로밖에 생각되지 않는 후안무치한 행동"이라고 일갈했다.

서울YMCA는 이번에 KT 조사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2024년 8월 이전에도 개인정보 유출 및 소액결제 피해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이용자 피해 접수 창구를 개설하고 SK텔레콤의 선례를 따라 전 고객들을 상대로 유심 교체와 위약금 면제를 즉각 시행하라고 강조했다.


서울YMCA는 "KT의 여전히 소극적이고 제한적인 조사와 사업자 관점의 피해 대응 방식이 국민의 안전과 권익을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고 있음을 엄중히 지적한다"며 "KT는 국민의 신뢰 회복과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해 이 같은 조치를 신속하게 이행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