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캄보디아 범죄 조직으로부터 대포통장 사기를 당했다는 피의자가 살해 협박까지 받았다고 토로했다.
23일 뉴스1에 따르면 제보자 A씨는 지난해 '저금리 대출'을 검색하던 중 '저신용자의 신용등급이 올라가 대출이 가능해진다'는 SNS 홍보를 봤다. 해당 계정에는 후기가 1000개 이상 달려 있었고 상담을 신청하자 '1·2 금융권 대출 경력 10년 차'라고 자신을 소개하는 대출 상담사 박씨와 연결됐다. 박씨는 A씨에게 "강요하지 않는다. 원하는 사람만 해준다"며 "불법이 아니다"라고 홍보했다.
A씨는 "하루에 3건씩 (대출) 후기가 쭉쭉 올라오고 회사 워크숍 사진이나 큰 회사 사진, 개인적인 사진도 계정에 있어서 믿을 수밖에 없었다"며 "(대출한) 돈을 받는 계좌라고 해서 계좌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이후 박씨는 A씨에게 "계좌 이중 접속 시 대출이 안 나오니 사흘간 기다려라"고 요구했다. A씨는 그 말을 믿고 이틀 동안 계좌에 한 차례도 접속하지 않았다.
하지만 사연을 접한 지인들이 '빨리 경찰에 신고하라'고 당부했고 A씨는 이틀 뒤 계좌에 접속했다. 문제는 이때 발생했다. A씨 계좌에는 약 1억7000만원이 오간 명세가 빼곡히 남아 있었다. 입출금 계좌명에는 각종 방송사 등 A씨와 무관한 업체들의 이름이 적혔다.
속앓이 하던 A씨는 용기를 내 경찰에 신고하고 변호사를 선임했다. 그러자 '실장'이라는 사람들의 협박이 시작됐다. 이들은 "왜 계좌에 접속했냐"며 따져 물었다. 특히 '심 실장'은 A씨의 정확한 집 주소와 부모님 이름까지 언급하며 "새벽에 아무도 모르게 기름을 붓고 모두 태워 죽이겠다" "장기를 팔아버리겠다" "인신매매로 그냥 보내버리겠다"고 협박했다. A씨 직장과 부모님에게도 이들로 추정되는 전화가 걸려왔다.
A씨 개인정보가 여기저기서 무단 도용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사건 후 다른 대출업체들로부터 연락이 쏟아졌는데, 한 업체는 '대출 받으려면 계좌번호 넘기고 가만히 있어라'고 요구했다. A씨가 경찰에 신고하자 업체 측은 "네 집 주소 다 안다. 얼굴도 반반한 게 내가 너 하나 못 잡아가겠냐"고 협박을 해왔다.
급기야 지난 2월에는 A씨가 모르는 사이 사업자 등록이 되고 대포폰도 3개가 개통됐다. 상황을 뒤늦게 인지한 A씨는 지난 7월에야 정체 모를 자신 명의의 쇼핑몰을 폐업 신청했다.
A씨는 경찰의 도움이 부족했다는 입장이다. 그는 "경찰 측에서 스마트워치를 발급해 주고 순찰도 강화해 주겠다고 했다"면서도 "사실상 캄보디아 사태가 터지기 전까지는 순찰이 그렇게 강화된 것 같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A씨는 최근 경찰로부터 '캄보디아 사건과 관련이 있다' '같은 조직 소행으로 추측된다' '다시 조사한다'는 말을 들은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