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전북 국회의원 예산정책협의회에서 김관영 전북도지사를 비롯한 지역 국회의원들이 '새만금에 떠오르는 인공태양' 슬로건 아래 유치 성공기원 결의 다짐 행사를 개최했다./사진=전북도

전북자치도가 미래 에너지 패권을 좌우할 핵융합 연구시설 유치에 나섰다.

30일 전북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및 첨단 인프라 구축 사업'의 연구시설 부지로 새만금산단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사업은 2027년부터 2036년까지 10년간 진행되며 핵융합 기술개발에 3500억원, 실증 인프라 구축에 8500억원 등 총 1조2000억원이 투입된다. 부지 선정은 11월 말 발표될 예정이다.

핵융합 기술은 태양에서 에너지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인공적으로 재현해 친환경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로 '인공태양'으로 불린다. 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고준위 방폐물도 발생시키지 않으며 폭발 위험이 없어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새만금은 공모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 최소 요구 면적인 50만㎡를 초과하는 단일 부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왕복 6차선 진입로가 확보돼 있다. 전기·상하수도 인입 인프라가 갖춰져 있고 2027년 말 조성공사가 완료될 예정이어서 사업 착수 시기와도 맞아떨어진다.


전북의 강점은 이미 구축된 연구 인프라다. 군산에 위치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플라즈마기술연구소는 2012년 개소 이후 플라즈마 기초·원천기술 연구를 수행해 왔다. 플라즈마 신기술 개발과 산업화도 추진하고 있어 핵융합 연구시설과의 기능 집적화가 용이하다.

지역 국회의원들도 유치 성공을 위해 발 벗고 나섰다. 전북 국회의원 예산정책협의회는 '새만금에 떠오르는 인공태양' 슬로건 아래 유치 성공기원 결의 다짐 행사를 개최하는 등 힘을 보태기로 했다.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는 "전북은 이미 플라즈마기술연구소가 위치한 만큼 핵융합연구원의 기능 집적화를 위해서도 새만금은 매우 유리한 위치"라며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를 통해서 새만금에 새로운 빛을 비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