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교가 김건희 여사에게 목걸이 등을 건넨 과정이 담긴 통일부 간부의 문자 메시지가 공개됐다. 사진은 지난 24일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재판에 참석한 김건희 여사. /사진=뉴시스(공동취재단)

통일교가 김건희 여사에게 목걸이를 건네는 과정이 담긴 문자 메시지가 법정에서 공개됐다.

26일 뉴스1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7부(우인성 부장판사)는 이날 김 여사의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 공판을 열고 통일교 전 재정국장인 이모씨와 윤영호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에 대한 증인 신문을 진행했다.

특검 측은 이날 법정에서 2023년 12월23일 이씨가 한학자 통일교 총재의 비서실장인 정원주 천무원 부원장에게 보낸 문자 메시지를 법정에서 제시했다. 해당 문자에는 "취임식을 앞두고 양쪽에서 여사에게 취임선물을 TM(한 총재)께서 하시면 좋겠다는 의견이 있어 보고 후 선물을 준비해서 전달하게 됐다"고 적혀있었다.


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순방 당시 김 여사의 반클리프앤아펠 목걸이 착용 논란과 한 총재의 원정 도박 의혹 보도를 언급하며 "대선 이후 갖게 된 신뢰감도 무너질 것으로 염려됐고 이러한 난항을 타개하기 위함이 금번 선물 이슈"라고 썼다. 이어 "TM(한 총재)께서 7월16일에 지침을 주셨다고 했다. 국모로서 품격을 가져야 한다는 말씀도 주셨다"며 "그 지침을 받고 진행된 것이다"고 덧붙였다.

특검 측은 해당 메시지를 제시하며 이씨에게 "그라프 목걸이 등을 김 여사에게 전달한 사실이 수사기관에 의해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알리고 이에 대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취지에서 이와 같은 문자를 전송하게 된 것이 맞나"라고 물었다. 이씨는 증언을 거부했다.

김 여사 측은 문자 내용에 대해 "통일교 신뢰감 회복이 목걸이 전달의 주요 이유인가"라는 취지로 묻자 이씨는 "메시지 내용에 관해선 이야기하고 싶지 않다"며 "무언가 선물을 구입하라고 했고 지침대로 구입해서 전달한 게 내가 알고 있는 것"이라고 답했다.


이씨는 이날 그라프 목걸이 구매내역에 대해 통일교로부터 정산받은 사실을 인정했다. 이씨는 "한 총재나 정 부원장이 요청한 귀금속을 구매하고 통일교에 정산받아 온 사실이 있나"라는 질문에 "네"라고 답했다.

윤 전 본부장은 이날 법정에서 선물 제공을 통한 통일교 현안을 청탁 의혹에 대해 부인하며 "샤넬 백으로 UN 사무국 유치가 가능한가"라고 답했다. 다만 교육부 장관의 통일교 행사 참석을 건진법사 전성배씨에게 부탁했다는 사실은 인정했다. 특검 측의 "2022년 7월 전씨에게 교육부 장관 예방 부탁하면서 비공개 면담을 부탁했나"라는 질문에 윤씨는 "네. 장관은 별도로 전씨에게 (부탁했다)"라고 말했다.

또 윤 전 본부장은 2022년 3월 전씨를 처음 만난 뒤 일주일 만에 김 여사로부터 "전 고문님께서 전화드리라고 했거든요"라는 연락받고 전씨의 영향력을 확인한 것 아니냐는 특검 측 지적에 대해 "전씨의 영향력으로 김 여사가 전화한 것이 아니고 이미 선거에 교단이 협조했다는 공을 세웠지 않은가"라고 진술했다.

김 여사는 지난 2022년 4~7월 전씨와 공모해 통일교 측으로부터 청탁받고 다이아몬드 목걸이 등 합계 8000만원 상당의 금품을 받은 혐의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