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미군 기지에서 주한미군이 2009년 이후 탄저균 실험을 15차례 실시했으며 오산에서 1차례 한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미군은 탄저균 실험 훈련을 올해 처음 했다고 발표해 은폐 의혹도 일고 있다. 또 지난 4월 탄저균 표본 배달 사고 시 페스트균도 함께 들여온 것으로 드러났다.
주한미군 오산기지 탄저균 배달 사고를 계기로 구성된 '한미합동 실무단'은17일 용산 기지에서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합동 실무단에 따르면 주한미군은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용산 기지에서 모두 15차례의 사균화된 탄저균 검사용 표본을 반입해 분석하고 식별장비 성능을 시험했으며 훈련도 진행했다. 이들 실험은 용산 기지 내 한 병원에서 이뤄졌으나 현재 이 병원은 없어졌다. 합동 실무단은 미군이 제출한 자료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앞서 탄저균 배달 사고 직후인 지난 5월 29일 주한미군 사령부는 공식 자료를 통해 "본 실험 훈련은 최초로 실시된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합동 실무단 미국 측 인사는 우리 측에 '최초'라는 것은 2013년 시작된 '주피터(JUPITER) 프로그램(합동 생물감시 체계)'을 의미한 것이라고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유사한 훈련을 2009년부터 실시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사실상 은폐 시도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페스트균이 반입된 것도 합동 실무단 조사로 처음 밝혀졌다.
합동 실무단은 용산 기지로 반입됐던 탄저균 샘플의 양과 구체적인 배달 시점은 공개하지 않았다. 오산기지 탄저균 배달사고가 불거졌을 때 일각에서는 탄저균보다 독성이 강한 보툴리눔이 반입됐을 가능성도 거론됐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일단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장경수 합동 실무단 한국 측 단장은 "반입할 때 포장 용기 내에 사균화된탄저균 및 페스트균임을 증명할 수 있는 첨부 서류가 동봉됐지만 주한미군에 들여오는 것은 검사를 생략하고 통과됐다"고 밝혔다.
또한, 합동 실무단 조사활동에 참관한 송기준 고려대 미생물학 교실 교수는 "인체 위해성이 될 만한 사항은 하나도 없었다. 탄저균 포자는 실험실에서 감염되기 어렵다"면서 "일반 탄저균 포자는 엉키기 때문에 공기 중에 떠서 감염을 일으키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조사 결과가 미진하다는 지적과 함께 양측이 공개한 것 외에 유사 사례가 더 없었는지, 제독을 포함한 후속 조치가 제대로 됐는지 밝혀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한, 합동 실무단 조사활동에 참관한 송기준 고려대 미생물학 교실 교수는 "인체 위해성이 될 만한 사항은 하나도 없었다. 탄저균 포자는 실험실에서 감염되기 어렵다"면서 "일반 탄저균 포자는 엉키기 때문에 공기 중에 떠서 감염을 일으키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조사 결과가 미진하다는 지적과 함께 양측이 공개한 것 외에 유사 사례가 더 없었는지, 제독을 포함한 후속 조치가 제대로 됐는지 밝혀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 |
신재현 외교부 북미국장과 테런스 오쇼너시 주한미군 부사령관이 17일 오후 서울 용산구 주한미군기지에서 열린 196차 SOFA(주한미군지휘협정) 합동위원회에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뉴스1 손형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