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찬. 김병찬 서울 용산경찰서장이 28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도착해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뉴스1
김병찬. 김병찬 서울 용산경찰서장이 28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도착해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뉴스1

2012년 경찰의 국가정보원 댓글 공작 사건 수사를 축소·은폐했다는 의혹을 받는 김병찬 서울 용산경찰서장이 28일 검찰에 출석했다.

서울중앙지검 국정원 수사팀(팀장 박찬호 2차장검사)은 이날 오전 10시 김 서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했다.

김 서장은 이날 오전 9시44분쯤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 청사에 도착해 '수사 상황에 대해 국정원 관계자와 통화한 것이 맞는가'라는 취재진 질문에 "맞다"면서도 "업무상 필요에 의해 통화한 사실이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누구의 지시로 (수사 정보를) 넘긴 것인가'라는 질문에 "수사 정보를 유출한 사실이 없다"고 일축한 뒤 심경에 대한 질문에는 "수사상 기밀을 유출한 적이 없다. 검찰 조사에 성실히 응대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서장은 2012년 12월16일 오후 11시 18대 대선을 3일 앞두고 '국정원 댓글 개입 의혹 사건'에 대한 서울 수서경찰서의 중간 수사 결과 발표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또한 댓글 사건의 핵심 수사 정보를 국정원에 건넸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그는 경찰의 댓글 사건 수사가 진행되던 당시 서울지방경찰청 수사2계장으로 국정원 심리전단 요원들의 댓글 공작과 관련한 디지털 분석 업무를 담당했다.

검찰은 김 서장을 상대로 수사 과정에서 축소·은폐 지시가 있었는지, 수사 정보를 국정원 측에 넘겼는지 등을 집중 추궁할 방침이다.

검찰은 당시 서울경찰청을 담당했던 국정원 직원이 김 서장과 45차례 연락한 정황을 포착하고, 이들이 사건을 축소·은폐하기 위해 모의한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은 당시 기습 발표를 통해 국정원 직원들이 문재인 당시 민주통합당 후보를 비방하는 댓글을 달았다는 의혹과 관련해 "국정원 직원들이 댓글 활동을 한 흔적을 발견할 수 없었다"고 발표했다.

경찰이 중간 수사 결과를 발표한 시점은 대선 후보 TV 토론이 끝난 직후로 경찰 발표가 대선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검찰은 지난 23일 김 서장의 사무실과 주거지 등을 압수수색해 관련 자료 등을 확보했다. 검찰은 김 서장에게 지난 25일 출석하라고 통보했으나 변호인 선임 등을 이유로 소환 일정을 연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