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2명의 목숨을 앗아간 대구 지하철 참사로 딸을 잃은 어머니가 20년이 지난 지금까지 가슴앓이하는 사연이 전해져 안타까움을 사고 있다.
20일 뉴시스에 따르면 지난 2003년 2월18일 대구지하철참사로 피아니스트를 꿈꾸던 장녀 이미영양을 떠나보낸 박남희 경북 칠곡군의원이 참사 20년인 지난 18일 오전 병원에 입원했다.
박 의원은 딸 이양이 세상을 떠난 후 20년 동안 매년 2월이 되면 하루하루가 힘들었다고 전했다. 올해도 일주일 전부터 몸이 아프기 시작하더니 지난 18일에는 스트레스로 인한 간 기능 저하로 3주동안 입원 치료를 받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 당시 경북예고 3학년에 재학 중이던 이 양은 협연 제안을 받고 공연 준비를 위해 지하철을 탔다가 변을 당했다. 이양은 사고 당시 휴대폰으로 "지하철에서 불이 났어요. 문이 열리지 않아요. 구해주세요"라고 박 의원에게 보냈다. 이에 박 의원은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행동해"라며 딸을 진정시켰으나 지하철을 뒤덮은 화마를 피할 수 없었다.
딸을 잃은 아픔을 봉사로 달래기 위해 적십자 등 각종 단체에서 활동을 이어가기도 했다. 박 의원은 지난해 7월 '인재로 자녀를 가슴에 묻는 부모가 없는 세상을 만들겠다'며 군의원의 길을 택했다.
그는 입원으로 대구지하철참사 추모식에 참석하지 못하자 수첩에 '미영아, 천국에선 사고 없이 잘 지내겠지? 그곳에서는 잘 지내고 있기를 바란다. 보고 싶구나'라는 메모로 딸의 넋을 기렸다.
박 군의원은 "참사가 발생한지 긴 시간이 흘렀지만 여전히 같은 아픔이 반복되고 있다"며 "딸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일상에서의 안전 의식 개선을 위해 작은 힘을 보탤 것"이라고 밝혔다.
대구지하철 참사는 2003년 2월18일 오전 9시53분 대구 지하철1호선 중앙로역에서 50대 남성의 방화로 발생했다. 이 사고로 승객 192명이 숨지고 151명이 다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