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자산운용 소버린AI(자국 주도 AI)의 생태계 조성에 주목하고 있다. 사진은 정재욱 삼성자산운용 ETF운용팀장. /사진=이동영

삼성자산운용이 AI(인공지능)와 관련된 생태계가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하며 '소버린AI'를 주목했다. 소버린AI는 '자국 주도의 인공지능'을 의미하며 국가 자체의 인프라와 네트워크에서의 AI 구현을 의미한다.

20일 삼성자산운용은 'KODEX 코리아소버린AI ETF' 기자 간담회를 열고 관련 상품 출시 배경을 설명했다. 이날 발표를 맡은 정재욱 삼성자산운용 ETF 운용팀장은 "이미 정부는 어느 정도 예고를 해줬다"며 "AI 컨소시엄에 대규모 자금 투입이 예고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미국과 중국을 비롯해 세계 각국은 소버린 AI 개발을 서두르는 중이다. 정부도 100조원 규모의 국민 성장 펀드를 조성해 국내의 AI 개발기업과 관련 생태계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소버린 AI 컨소시엄 참여 기업에 GPU 임대 지원에 4500억원, 인재 영입 비용에 250억원 이상을 투자할 것이라 발표했다. 이는 GPU와 관련 기술이 부족하고 전문 인력의 확보가 절실하다는 업계 요청에 따른 것이다.

정 팀장은 "소버린 AI를 위한 컨소시엄에 참가한 기업은 이를 통해 더 많은 GPU와 인력 등을 확보할 수 있어 AI 개발에 힘을 받게 된다"며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 간 AI 활용 능력 격차도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삼성자산운용은 이에 소버린 AI 컨소시엄에 참가하는 기업에 집중했다. AI 개발기업 뿐만 아니라 AI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기업들도 포트폴리오에 담았다. 네이버와 LG CNS, 엔씨소프트, SK하이닉스, 두산에너빌리티가 대표적이다.


네이버는 클로바(CLOVA)를 통해 챗GPT 대비 6500배 많은 한국어 데이터를 학습한다. 그리고 이 데이터를 회사의 플랫폼을 통하여 활용할 수 있다. LG CNS는 스스로 능동적으로 일하는 에이전틱 AI(Agentic AI)를 개발하고 클라우드와 데이터센터를 담당한다. 엔씨소프트는 AI 소프트웨어를, SK하이닉스는 AI에 필수적인 반도체를 만들며 두산에너빌리티는 AI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전력 설비를 담당한다.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이 기업들은 한국거래소의 KODEX 코리아소버린AI 지수를 추종한다. 특히 이 지수는 2025년 연초 대비 54.1% 상승하며 코스피 지수의 상승률 42.7%를 웃돌았다.

정재욱 팀장은 "이처럼 KODEX 코리아소버린AI ETF를 통해 한국형 AI 밸류체인에 한번에 투자할 수 있도록 했다"며 "통계로 나타난 것처럼 최근 한국 증시 상승을 주도한 종목이기도 하기에 코스피 5000 달성을 위한 증시 부양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