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감사위원회는 보행자 안전에 대한 민원이 많은 '바닥형 보행신호등'(바닥신호등)의 유지관리 실태를 집중 조사한다고 9일 밝혔다.
바닥신호등은 스마트폰에 집중하느라 주변을 잘 살피지 않는 이른바 '스몸비족' 등 교통약자의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도입했다. 이번 조사는 오는 10일부터 28일까지 수원, 용인, 고양 등 8개 시에 설치한 바닥형 보행신호등 250개(20%)를 대상으로 진행한다. 31개 시군 중 바닥형 보행신호등 설치 개수, 어린이보호구역 교통사고 건수, 국민신문고 민원 건수 등을 고려했다.
도 감사위는 최근 2년간 경기도와 시군에 접수된 국민신문고 민원키워드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감사 주제를 선정했다. 감사위원회 분석결과 전체 민원 가운데 30%가 '교통안전'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신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처럼 '보행자 안전'에 대한 민원키워드들이 20~30%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스마트폰 이용자는 물론 어린이, 노인 등 교통약자의 보행 안전을 위해 최근 설치 수요가 많은 바닥형 보행신호등을 특정감사 대상으로 선정했다. 특정감사 점검 항목은 설치 기준 준수, 주 보행신호등과 신호 일치, 점등 상태, 표출 색상 등 신호등 정상 작동 여부, 파손, 훼손, 오염과 같은 외관상태 등이다. 이번 특정감사에는 경기도가 위촉한 도민감사관 8명이 참여한다.
안상섭 경기도 감사위원회 위원장은 "도민들의 생생한 목소리인 민원데이터를 활용해 감사 주제를 정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