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사회성과 인센티브 추진단(이하 추진단)은 서울 종로 소재 실버영화관 ‘낭만극장’에서 안충영 동반성장위원장, 오광성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장, 김용학 연세대 총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프로젝트 참여 사회적 기업 대표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사회성과 인센티브 1주년 기념행사 및 학술좌담회를 열었다.
사회성과 인센티브는 최 회장이 자신의 저서 ‘새로운 모색, 사회적 기업’에서 처음 제안한 ‘Social Progress Credit’이라는 개념이 사회적 기업계의 공감을 얻어 지난해 현실화됐다.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고 보상하는 게 목표다.
추진단은 학계, 사회적 기업가, 사회적 기업 지원기관 등과 수개월 동안 사회성과 측정방법을 개발한 뒤 평가측정에 동참한 44개 사회적 기업과 검증과 합의를 거쳐 평가방법을 최종 완성했다.
![]() |
/사진=SK그룹 |
이번에 마련된 측정기준으로 44개 사회적 기업의 지난해 사회성과를 측정한 결과 모두 약 104억원의 사회적 가치를 만들어 낸 것으로 조사됐다. 사회적 기업당 2억3000만원의 사회성과를 창출한 셈이다.
추진단은 이들 사회적 기업이 만들어 낸 사회성과 104억원의 25% 수준인 26억원 가량을 인센티브로 지급하기로 했다. 사회적 기업당 평균 6000만원이 착한 일에 대한 성과금으로 지급되는 것이다.
이번에 인센티브를 받는 44개 사회적 기업은 평균적으로 설립 후 8년가량 된 기업들로 지난해에 모두 740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는 등 경영성과를 거뒀으며 취약계층 1700여명을 고용하고 있다.
추진단은 앞으로 인센티브에 뜻을 같이할 사회적 기업을 모두 100개까지 늘리는 등 저변을 확대할 계획이다.
안 동반성장위원장은 “사회성과 인센티브는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들에게 커다란 이정표를 제시하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사회성과 인센티브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모델이 더 많이 개발돼 우리 경제 동반성장의 길이 더욱 풍부하고 다양하게 펼쳐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사회성과 인센티브가 사회적 기업의 단기적 성장을 이끄는데 그치지 않고 더 큰 사회적 가치를 꿈꾸고 세상에 그 꿈을 전달하고 동참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언어로 발전해 나가길 기원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