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출범한 사회성과 인센티브 제도에 첫 성과가 공개됐다. ‘착한 기업’으로 알려진 사회적 기업이 얼마만큼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했는지 수치로 드러난 것. 이들이 만들어낸 고용·환경·복지·문화 등 각 분야의 사회성과에 따라 경제적 인센티브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제공될 예정이다.

20일 사회성과 인센티브 추진단(이하 추진단)은 서울 종로 소재 실버영화관 ‘낭만극장’에서 안충영 동반성장위원장, 오광성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장, 김용학 연세대 총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프로젝트 참여 사회적 기업 대표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사회성과 인센티브 1주년 기념행사 및 학술좌담회를 열었다.

사회성과 인센티브는 최 회장이 자신의 저서 ‘새로운 모색, 사회적 기업’에서 처음 제안한 ‘Social Progress Credit’이라는 개념이 사회적 기업계의 공감을 얻어 지난해 현실화됐다.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고 보상하는 게 목표다.

추진단은 학계, 사회적 기업가, 사회적 기업 지원기관 등과 수개월 동안 사회성과 측정방법을 개발한 뒤 평가측정에 동참한 44개 사회적 기업과 검증과 합의를 거쳐 평가방법을 최종 완성했다.

/사진=SK그룹
/사진=SK그룹

이번에 마련된 측정기준으로 44개 사회적 기업의 지난해 사회성과를 측정한 결과 모두 약 104억원의 사회적 가치를 만들어 낸 것으로 조사됐다. 사회적 기업당 2억3000만원의 사회성과를 창출한 셈이다.

추진단은 이들 사회적 기업이 만들어 낸 사회성과 104억원의 25% 수준인 26억원 가량을 인센티브로 지급하기로 했다. 사회적 기업당 평균 6000만원이 착한 일에 대한 성과금으로 지급되는 것이다.

이번에 인센티브를 받는 44개 사회적 기업은 평균적으로 설립 후 8년가량 된 기업들로 지난해에 모두 740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는 등 경영성과를 거뒀으며 취약계층 1700여명을 고용하고 있다.

추진단은 앞으로 인센티브에 뜻을 같이할 사회적 기업을 모두 100개까지 늘리는 등 저변을 확대할 계획이다.

안 동반성장위원장은 “사회성과 인센티브는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들에게 커다란 이정표를 제시하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사회성과 인센티브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모델이 더 많이 개발돼 우리 경제 동반성장의 길이 더욱 풍부하고 다양하게 펼쳐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사회성과 인센티브가 사회적 기업의 단기적 성장을 이끄는데 그치지 않고 더 큰 사회적 가치를 꿈꾸고 세상에 그 꿈을 전달하고 동참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언어로 발전해 나가길 기원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