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의 한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시스 DB
서울 강남의 한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시스 DB
다음달은 대형 건설사를 전국에서 4만9000여 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
22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다음달 전국 아파트 분양예정 물량은 4만8908가구로 집계됐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전년 동기 대비 수도권은 8%(2748가구) 감소한 3만1136가구, 지방은 26%(3635가구) 증가한 1만7772가구가 분양을 준비 중이다.


수도권은 경기의 경우 지난해 보다 44%(1만2298가구) 감소했다. 반면 서울은 대형 건설사 브랜드아파트가 분양을 준비하며 전년 동기와 비교해 분양예정 물량이 240%(7444가구)로 크게 늘었다.

문재인 정부가 내놓은 6·19 부동산대책의 주요 골자는 서울의 전매제한 강화, 조정 대상지역 추가 선정, 맞춤형 주택담보대출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조정, 재건축 조합원 주택공급수 제한 등이다.

정부는 서울 전 지역의 공공·민간택지의 전매제한을 소유권이전등기시로 확대 적용했다. 이는 사실상 서울에서 분양권 전매가 금지된 것.


한편 7월은 서울에서 10대 건설사의 브랜드아파트 분양이 쏟아질 예정인 가운데 서울 청약시장의 열기는 위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분양권의 환금성 약화 등의 이유로 투자수요가 감소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

서울 외 과열지역의 청약문턱도 높아졌다. 정부는 조정대상지역으로 경기 광명, 부산 기장 및 부산진구를 추가해 총 40개 지역이 1순위·재당첨 제한을 받는다. 조정 대상지역의 LTV 규제비율도 70%에서 60%로 10%p 강화돼 집단대출이 어려워지고 잔금대출에도 DTI가 신규로 적용되며 예비청약자의 자금조달 부담은 커졌다.

여기에 과열이 지속될 경우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될 가능성도 열려있어 분양시장의 단기 투자 열기는 한동안 진정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서민층, 무주택자 등 실수요자에는 LTV·DTI 규제를 기존대로 적용하고 정책모기지 공급이 예정돼 있어 주택마련 기회는 커질 가능성이 있다.

윤지해 부동산114 책임연구원은 “투기수요가 제한돼 청약 경쟁이 약해지는 상황에서 실수요자 입장에선 가수요가 빠지고 청약 당첨 확률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커질 전망”이라며 “이에 수요자는 자금조달 여건, 적정한 분양가 등을 고려해 청약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총 3만1136가구가 분양을 준비 중이다. 서울에서는 총 1만547가구가 공급될 예정 이며 재건축·재개발아파트 물량이 많다.

지방에서는 부산의 물량이 가장 많다. 부산에서는 총 3641가구가 청약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밖에 ▲경북 1610가구 ▲전북 1517가구 ▲강원 1160가구 ▲울산 1036가구 ▲충남 696가구 ▲대전 650가구 ▲충북 550가구 ▲대구 493가구 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