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흡연 크론병. /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
국내 연구진이 흡연으로 인해 장질환인 크론병이 발생하는 과정을 규명했다.
한국연구재단은 2일 배현수·김진주 경희대학교 교수 연구팀이 흡연으로 인해 장질환인 크론병이 발생하는 과정을 규명했다고 발표했다.
흡연은 뇌혈관·심혈관·호흡기 질환의 주요 위험 인자로 알려졌다. 흡연이 크론병의 위험 인자라는 임상·역학 연구가 보고되고 있었지만 흡연으로 크론병이 발생하는 구체적인 기전은 분명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흡연으로 인해 폐에서 발생한 염증 면역 세포 Th1이 대장으로 이동하며, 이 세포가 분비한 단백질 인터페론 감마가 대장염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간접흡연에 노출된 생쥐에게서 Th1 세포와 인터페론 감마가 유독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고, 흡연만으로 대장염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반면 유전적으로 Th1 세포와 인터페론 감마가 결핍된 쥐에게서는 흡연에 노출돼도 대장염이 발생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최신 면역학 연구 기법으로 한의학의 장상학설에서 폐와 대장이 생리·병리학적으로 연결된다는 이론을 규명했다는 데에서 획기적인 의의가 있다고 자평했다.
장상학설은 인체에 나타나는 생리·병리적 현상에 대한 관찰을 통해 각 장부의 생리 기능 병리 변화 및 장부 간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는 한의학 이론으로, 음양오행·경락학을 근거로 하고 있어서 현대 과학적 방법으로 증명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배·김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흡연과 대장염과의 관련성을 규명한 것으로, 크론병과 같은 난치성 대장염 치료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라며 "한의학의 생리·병리학 이론을 분자생물학적으로 규명한 선구적 연구 방법의 좋은 본보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지원사업(개인연구) 지원으로 수행됐다.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첨단면역학회지'(Frontiers in Immunology) 지난달 31일자 논문으로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