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취임 후 처음으로 국정감사장에선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가계대출 관리 방안에 대해 "은행 가계대출 관리계획 등에 대해 긴장감을 가지고 밀착 모니터링, 관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원장은 21일 국회에서 열린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 인사말을 통해 "가계부채의 안정적 관리를 유도하고 취약 그룹·기업·업종의 재무구조 개선 유도 등 금융권 부채가 적정히 관리될 수 있도록 했다"며 "PF대출 등에 대한 위험가중치 상향, 보험부채 계리가정에 대한 감리체계 구축 등 금융안정 확보를 위해 건전성 감독도 강화하고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재명 정부의 핵심 금융정책인 생산적 금융과 관련해선 "종투사 제도 개편, 자본규제 합리화 등을 통해 시중자금의 부동산 쏠림 현상을 완화하고 생산적 분야로 원활히 자금이 공급되도록 유도할 것"이라며 "주가조작을 신속히 적발해 일벌백계하고 중저신용자 대출 취급시 인센티브를 확대하는 등 국민경제와 금융시장이 동반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금융소비자 보호도 강조했다.
그는 "소비자보호 중심의 경영문화 확립을 위해 금융사 소비자보호 담당임원(CCO), 소비자보호 내부통제위원회의 독립성 강화, 인력확충 등 종합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금소처 민원조사 전담조직을 활용해 신속한 현장점검 및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며 "금융사의 소비자보호 조직문화 성숙을 지속 유도하고 불공정거래 적발 강화, 불건전 영업행위 엄단 등을 통해 공정한 금융패러다임을 확고히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책임 있는 혁신기반 조성도 강조했다.
그는 "최근 발생한 금융사 보안 침해사고와 관련해 진상규명과 함께 재발방지 대책을 신속히 마련해 국민들이 안심하고 거래할 수 있는 금융권 IT 보안 강화에 더욱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이재명 정부서 처음 열리는 금융감독원장 국정감사에서는 6·27대책과 10·15 대책 등 가계대출 규제의 실효성, 부동산 PF 부실 관리 논란, 롯데카드 해킹사고에 대한 금융당국의 책임이 집중적으로 도마 위에 오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