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 고객이 대형마트 내 우유 판매대에서 우유를 고르고 있다. /사진=머니투데이DB |
스웨덴 웁살라대학의 칼 마이클슨 교수팀에은 지난 20년 간 여성 6만1000명과 11년 간 남성 4만5000명을 추적 조사한 결과, 우유를 하루에 3잔(680㎖) 이상 마시는 사람은 심장병 등으로 사망할 위험이 그보다 적게 마시는 사람에 비해 2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또 우유를 많이 마시는 여성들이 골절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우유를 많이 마시는 여성이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엉덩이 골절이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는 것.
웁살라 대학 칼 마이클슨 교수는 "취약성 골절 예방을 위해 우유를 많이 마시라는 권고의 타당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우유를 많이 마신다고 골절 위험이 낮아지는 것은 아니고 대신 사망률이 높아지는 것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우유는 단백질, 칼슘, 비타민, 무기질 등 114가지 영양소를 함유해 대표 건강식품으로 불린다. 특히 아동청소년의 성장발육, 비만예방, 중·장년층의 뼈 건강 등을 위해 많은 나라에서 국민들에게 섭취를 권장하고 있다.
◆ 음주, 흡연, 체중요인 고려 안해
국내 학계에선 마이클슨 교수팀의 연구결과의 신뢰도가 낮다고 입을 모은다. 우선 마이클슨 교수의 연구진은 사망원인에 있어 다양한 요인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지나친 우유 섭취보다 흡연이나 음주, 과체중 등이 건강에 더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사망원인을 우유 섭취로 단정 지은 것은 설득력이 부족하다는 것.
또 연구진이 언급한 하루 우유 섭취량은 한국인의 우유 음용실태와 비교했을 때 큰 차이가 있어, 식품 섭취 방식을 바꾸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경상대학교 축산학과 주선태 교수는 "우리나라의 일일우유섭취 기준은 200㎖이지만 현실은 77㎖에 불과하다"며 "매일 우유 한잔 정도도 마시지 않는 나라에서 우유 3잔 이상의 연구결과를 가지고 논한다는 자체가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이어 주 교수는 "단 스웨덴은 우유 및 유제품 이외에도 육류소비 등 동물성 지방의 섭취가 많기 때문에, 하루에 우유를 3잔 이하로 마실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인제대학교부속서울백병원 강재헌 교수 역시 "우유 680㎖은 지나치게 많은 양이기 때문에 평소 우유 섭취가 적은 한국인들에게 이번 연구 결과를 적용하기 어렵다"고 며, "한국인에 비해 서양인들은 우유 외에도 치즈 등의 형태로 유제품을 지나치게 많이 먹고 있어, 결과적으로 유지방을 통한 포화지방 과다 섭취가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높인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또 "서양인들은 평소에도 다른 식품을 통한 칼슘 섭취가 많아 우유를 먹어도 추가적인 골다공증 효과를 내기 어려운 것"이라고 밝혔다.
우유 뿐 만 아니라 대다수의 전문가들은 어떤 식품이든지 과도한 섭취는 먹지 않는 것만 못하다고 지적하며 건강을 위해 적정량의 섭취를 유지할 것을 권고한다.
건국대학교 동물자원학과 이홍구 교수는 "우유는 칼슘, 비타민 및 양질의 단백질 등이 풍부한 식품으로, 건강증진을 위해 반드시 섭취해야 한다"며 "우리나라의 우유섭취량은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일일섭취 기준(200㎖)에 크게 부족하기 때문에 각자의 신체조건 및 기호 등에 맞춰 점차 음용량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