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채널 '너덜트'가 공개한 주 69시간 근로 풍자 영상. / 사진=유튜브 채널 '너덜트' 캡처
유튜브 채널 '너덜트'가 공개한 주 69시간 근로 풍자 영상. / 사진=유튜브 채널 '너덜트' 캡처

정부가 근로시간 개편안 재검토에 착수한 가운데 한 유튜브 채널에 '주 69시간 근무'와 관련한 풍자 영상을 올리며 누리꾼들의 공감을 이끌어내고 있다.

유튜브 채널 '너덜트'는 지난 24일 '야근, 야근, 야근, 야근, 야근, 병원, 기절'이라는 제목의 5분29초 분량의 영상을 게재했다.


이 영상은 올린 지 사흘 만인 27일 오전 8시 기준 조회수 약 157만회, 추천 수 6만회, 댓글 7128개를 기록하며 화제를 얻고 있다.

영상은 한 중소기업에 69시간을 도입된 경우를 가정한 내용이다. 사장이 등장해 주 69시간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언급한 이후 옥상에서 사원과 대리의 대화가 이어진다.

사원이 "주 69시간 좋은 거 아니냐. 야근계속 하면 돈 더 받지 않냐. 1.5배 더 주는걸로 안다"고 말하자 대리는 "우리 회사는 포괄임금제라 안된다"고 선을 긋는다.


사원이 재차 "주 69시간 일하고 다음주 내내 쉬어버리면 우리한테 이득 아니냐"고 반문하자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대기업이면. 여긴 중소라 안된다"고 일축한다.

"일 없을 때 다 같이 쉬고 그러면 안되나"라고 사원의 질문에 대리는 "회사에 일이 없는 날이 없는 게 문제다. 있는 연차도 못쓴다"고 답변했다.

사원이 "야근은 그렇게 시키면서 돈도 안 주고 휴가도 안 줄 거면 우리보고 어떡하라는 거냐"고 말하자 대리는 "MZ들은 권리의식이 강해서 '사장 나와라' 하면서 알아서 받아내란다"고 한숨을 쉰다.

이는 최근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실제로 "요새 MZ 세대는 '부회장 나와라, 회장 나와라' '성과급이 무슨 근거로 이렇게 됐느냐'라고 할 정도로 권리의식이 굉장히 뛰어나다"고 한 발언을 비판한 것이다.

영상에는 또한 주 69시간 4주차를 맞은 신입 사원이 "주 69시간 근무표에 '열심히 일한 자, 충전 타임'이라고 돼 있는데 우리는 충전 타임 언제 주는 거냐. '나만의 휴가'에는 주말이 포함돼있다"며 황당하는 장면도 잠겼다. 해당 근무표 역시 실제로 고용부에서 만든 것으로 공개 이후 누리꾼들의 거센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주 69시간 근무에 지친 대리는 결국 사장에게 "아무리 주 69시간이 근무라고 해도 매주 69시간 근무를 시키는 건 근로기준법 위반이다. 주 52시간일 때는 60시간이더니 주69시간 되니까 74시간이 됐다"고 항의하며 휴가를 떠난다.

하지만 이는 꿈에 불과했고, 다시 현실로 돌아온 대리는 커피를 사 달라는 신입 사원에게 "사다 줄 테니 관두지나 마요"라고 달래면서 영상은 끝난다.

누리꾼들은 댓글을 통해 공감을 쏟아내고 있다. "저건 하나의 과장도 없는 진짜 리얼" "현 시점에서 문제점을 적나라하게 잘 표현한 작품" "마냥 웃을 수만 없는 영상" "MZ세대는 권리의식이 강해 알아서 잘 챙겨먹을거라는 말 진짜 충격이였이였는데, 그 부분 정말 잘 나온 것 같다" "진짜 현실을 1도 모르고 정책 만드는 거" "너무 현실적인 풍자라 웃프다" 등의 댓글이 줄을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