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성과 신뢰, 혁신으로 정의되는 미래를 향해"
30일 경북 경주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 부대행사인 '퓨처테크 포럼: 디지털자산'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가 주최했다.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이날 오프닝 연사로 올라 "디지털 자산은 기술과 금융, 사람과 경제를 연결하는 다리"라고 했다. 행사는 디지털자산·금융 등 전문가 패널 토론으로 구성됐다. 각 업계 전문가가 모여 AI·스테이블코인·금융 등을 다각도로 조명했다.
기조연설은 마이클 케이시 MIT 미디어랩 디지털 화폐 이니셔티브 수석 고문이자 Advanced AI Society 의장이 맡았다. 그는 '스테이블코인, AI 그리고 프로그래머블 화폐: 글로벌 금융 시스템의 다가오는 대전환'을 주제로 발표했다. 마이클 수석 고문은 화폐의 역사부터 스테이블코인까지의 발전 과정을 짚으며 금융 시스템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설명했다.
그는 "우리는 은행이 중개자 역할을 하는데 의존해왔다"며 "블록체인이 등장하면서 수학적 증명을 신뢰하게 됐다"고 말했다. 은행이 화폐 거래 중개자로 신뢰자 역할을 했는데 블록체인의 증명 시스템이 이를 대신한다는 것이다. 이어 테더를 사례로 들며 "스테이블 코인은 주류시장에 접근하고 있다"며 "실제 규정으로 정해진 준비금·감사 등 (기준이) 토큰 가치를 뒷받침한다"고 했다. 적절한 규제와 시스템을 통해 스테이블코인이 화폐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스테이블코인 규제 방식을 지적하기도 했다. 마이클 수석 고문은 "(스테이블 코인 업계가)부정적인 규제 환경에 직면해 있다"며 스테이블코인이 기존 금융권을 해치는 것이 아니라고 했다. 그는 "우리가 해결하려는 것은 은행 자체의 비효율성"이라고 강조했다. 은행 결제시스템 지연, 불법 자금 유입 등 기존 금융권이 겪고 있는 불편함 점을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금본위제를 무너뜨린 '브레튼 우즈' 협약을 언급하며 스테이블 코인이 브리튼 우즈 2.5라고 하기도 했다. 새로운 화폐 시대로 가는 과도기라는 뜻이다.
스테이블코인과 달러 두고 열띤 패널토론 이어져
기조 연설 이후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는 스테이블코인 지지자와 달러 패권 지지자가 맞붙었다. 토론은 윤선주 두나무 CBIO가 이끌었다. 패널로는 폴 블루스타인 미국 전략국제문제 연구소 CSIS 연구원, 루 인 솔라나 재단 APAC 사업개발 총괄, 마이클 케이시 수석 고문이 참가했다. 이들은 스테이블코인를 다방면으로 접근했다.
블루스타인 CSIS 연구원은 '강달러' 저자로 달러 패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암호화폐는 탈중앙화"라며 미국 정부의 정책 영향력이 줄어든다고 우려했다. 불법금융으로 활용될 가능성도 지적했다. 블록체인이 거래 기록을 남겨 추적하기 쉽다는 주장이 있지만 현재도 비트코인이 악용되는 사례가 있음을 짚은 것이다. 스테이블코인 사용이 시작되며 정부는 경제를 통제할 수 없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블루스타인 주장을 두고 스테이블코인 지지자인 루 총괄과 마이클 수석 고문이 반박했다. 루 총괄은 "솔라나 관점에서 KYT를 수행해 블랙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며 시스템을 통해 불법금융으로 약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했다. 마이클 수석 고문도 가세했다. 그는 1996년 쿠바 경제 제제에 사용된 '헬름스-버튼법'을 언급하며 법적 틀을 마련하면 통제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두 번째 패널 토론 세션은 '금융 포용: 언뱅크드를 연결하다'는 주제로 진행됐다. 이사벨 채터튼 아시아개발은행 민간부문 운영실 총괄, 엘리자베스 로시에로 AZA 파이낸스 CEO 겸 창업자가 패널로 참여했다. 마지막 섹션은 오경석 두나무 대표, 대니 찬 마스터카드 APAC CISO, 마이클 호 아메리칸 비트코인 이사회 의장이 패널로 참여해 디지털 자산과 기존 금융의 경계가 무너지며 어떻게 새로운 금융 생태계를 구축할지를 두고 토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