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최대 경제단체 게이단렌이 바이오 대전환 정책을 제안하면서 일본도 바이오산업 활성화에 본격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일본 최대 경제단체 게이단렌이 바이오 대전환 정책을 제안하면서 일본도 바이오산업 활성화에 본격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이미지투데이

글로벌 바이오산업 패권을 잡기 위한 국가들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미국과 중국에 이어 일본도 바이오산업 활성화에 나설 움직임이 포착되면서 국내 바이오 산업에 대한 정부 지원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26일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지난 22일 일본 최대 경제단체인 게이단렌은 지난해 9월 미국 바이오경제 행정명령과 같은 바이오경제 실현을 위한 바이오 대전환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게이단렌은 ▲재생의학 분야에서 유도만능 줄기세포(iPS 세포)에 대한 응용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점 ▲바이오제조 분야에서 해양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과 미생물로부터 섬유 등을 추출하는 기술을 보유한 점 등을 강점으로 꼽았다.

그러면서 ▲생태계 조성 및 가치 창출 ▲경제적 안정 확보 ▲글로벌 진출 및 시장 선도 ▲컨트롤타워에 의한 정책 집중화 ▲국민 이해도 제고 등 5가지 전략을 제안했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글로벌 생명공학 산업 규모가 2030년까지 200조엔(199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고 미국 바이든 정부도 바이오 산업이 30조달러(3경8800조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했을 정도로 바이오 시장의 성장성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바이오 대전환을 5차 산업혁명이라고도 부른다.


미국 백악관은 지난 22일(현지시각) '미국 바이오 기술 및 바이오 제조를 위한 담대한 목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서 미국 상무부는 "5년 내 모든 원료의약품의 25% 이상을 생산할 수 있도록 광범위한 합성 생물학과 바이오 제조능력을 구축할 예정이다"며 "20년 안에 미국내 화학물질 수요의 30% 이상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앞서 중국은 지난해 5월 바이오경제 종합역량을 선진국 수준으로 제고시키기 위한 '14차 5개년 바이오경제 발전계획'을 발표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미국과 중국, 일본 세 나라의 움직임을 보면 바이오산업 전반에 걸친 혁신 바이오기술 개발에 대한 정부 투자 확대 및 규제, 약가, 조달 등에 대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